내용
보수 • 진보 • 중도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100인 의식조사 발표
- 시민단체 정치적 편중에 과반 공감, “진보, 보수 인식차”-
- 보수•진보간 이념 갈등이 심각하나 협력 등 소통 필요성엔 공감 -
- 시민사회단체“전문성”구축과 “자원과 재정안정성”이 중요 -
대통령소속 국민대통합위원회(위원장 한광옥)는 9월 2일, 보수와 진보 등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의 소통과 화합,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한 “2015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100인 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보수단체에서는 바른사회시민회의가 추천하고, 진보단체에서는 시민사회연대회의가, 중도단체는
서울NPO지원센터에서 추천한 74개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100인의 활동가(보수•진보 각 40명, 중도 20명)를
대상으로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가 온라인(WEB)조사를 수행(‘15.8.10~8.17)하였다.
- 보수 시민사회단체 : 바른사회시민회의, 시대정신 등 38개 기관 40명
- 진보 시민사회단체 : 시민사회연대회의, 환경운동연합 등 17개 기관 40명
- 중도 시민사회단체 : 서울NPO지원센터, 한국NGO학회 등 19개 기관 20명
시민단체활동가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는 이번이 처음으로, 설문은 ‘한국 시민사회의 특징 및 책임윤리’,
‘한국사회 갈등 해소방안’, 시민단체 활성화 과제와 방안‘ 등 총 20개 문항에 대해 실시되었다.
주요 조사결과로 활동가 중 67%는 한국시민사회단체의 사회적 책임감이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시민사회단체가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한 부분으로는 ‘시민의식고취 및 시민사회 형성’(79%)과 ‘정치적
민주화 기여’(70%)를 먼저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청렴 수준 향상’(17.0%), ‘경제적 불평등 완화’(15.0%) 순이었다.
시민단체의 활동이 정치부분에 편중되어 있다는 평가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하는지 묻는 문항에 대해 ‘공감한다’
(매우공감 17%, 대체로 공감 42%)가 59%로 과반 넘게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이러한 평가에 대해
보수와 중도는 각각 82.5%, 70%가 공감을 한 반면, 진보는 30%만 공감을 표시하여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인식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서는 ‘대체로 높다’ 등 긍정적 인식이
29%로, 부정적 인식(28%)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동 항목에 대해서도 보수단체는 15%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진보와 중도는 각각 42.5%, 30%로 차이를 보였다.
우리사회의 주요한 갈등•대립 이슈에서는 ‘경제적 분배를 둘러싼 계층갈등’(67%), ‘북한 및 통일을 둘러싼
이념갈등’(61%)을 주요 이슈로 인식하고 있으며, 세대갈등(16%), ‘국책사업 관련 공공갈등’(15%) 순이었다.
다만 보수진영은 75%가 이념갈등을, 중도 및 진보 진영은 계층갈등을 가장 심각한 갈등(중도 85%, 진보 67.5%)
으로 인식하는 차이를 보였다.
보수와 진보간 이념갈등 수준에 대해서 ‘심하다’(매우 심하다 50%, 대체로 심하다 39%)는 평가가 89%로 높은
편이었고, 이러한 갈등에 대해 70%가 부정적(매우 부정적 28%, 대체로 부정적 42%), 12%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근거는 대화•타협 등 상호이해 부족과 보수-진보간 근본적인 시각 차이가
언급된 반면, 긍정적 근거는 사회내 갈등은 불가피하며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고 있었다.
이념갈등의 원인에 대해서는 ‘정치권 및 북한에 대한 인식 차이’(55%), ‘정치권과 언론에 의한 이념적 갈등
부추김’(46%), ‘경제적 불평등 및 경제적 구조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35%)를 주요 원인으로 답했다. 이러한
이념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협의체 및 소통기구를 구성하는 부분에 대해서 찬성하는 의견이 59%,
보통 22%, 반대 14%로 찬성의견이 과반을 넘었다. 보수와 진보간 최소한의 규범에 합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 또한 70%로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이념 갈등 해소를 위해 보수-진보간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협의체 등이 운영될 경우 참여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 시민운동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는 ‘자원 및 재정의 안정성 부족’(62%), ‘이념과잉과 과도한 진영 논리’(37%),
‘새로운 의제발굴과 대안제시 능력 부재’(28%) 순으로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시민사회 활동가에게 필요한
요소로는 ‘경제적 안정’(37%), ‘사회의 비전과 정책대안 제시 능력’(32%), ‘시민의 지지와 성원’(10%) 순으로 앞서
말한 ‘자원 및 재정의 안정성 부족’과 연관성을 보였다. ‘경제적 안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보수 활동가(42.5%)가
진보 활동가(30%)보다 높았으며, ‘시민의 지지와 성원’을 꼽은 의견은 진보 활동가(17.5%)가 보수 활동가(10%)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민단체에 필요한 책임윤리를 묻는 항목에서는 ‘전문성’(53%), ‘공공성’(39%), ‘비정파성’(27%), ‘공정성’(26%),
‘투명성’(24%) 순으로 공공성보다 전문성을 보다 더 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헌신성’(7%)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낮은 수준으로 갈등 해결을 위한 전문적 능력 함양이 시민사회단체 활동가의 주요 관심
사항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국민대통합위원회 한광옥 위원장은 “보수•진보•중도 시민사회단체 간에 견해가 다를지라도 다름을
인정하며 상호 소통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는게 국민통합으로 나아가는 길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흥사단 김전승 사무총장은 “과거 우리나라의 시민사회단체에 가장 필요했던 것이 ‘공공성’이었는데,
이제는 ‘전문성’이 무엇보다 필요한 덕목으로 나타나 격세지감을 느낄 정도다.”라고 언급하였다. 시대정신
이재교 대표는 “보수•진보 활동가에 따라 국민 신뢰도에 대한 인식이 차이가 날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이
정치 활동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조사결과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할 때”라고 밝혔다.
붙임 : 1.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100인 의식조사 결과요약
2.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100인 의식조사 결과보고서. 끝.